정보
-
40대 중장년층에 ‘백내장 발병’ 확산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인식되던 백내장이 근래 40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급격히 확산되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백내장으로 진료 받은 40대 환자는 2018년 28만명에서 2022년엔 36만명으로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50대 환자 역시 약 42% 늘어나는 등 전체 백내장 환자...
-
고령 운전자의 교통안전 제1조건은 ‘시력’
고령 운전자는 돌발 상황 시 비고령 운전자에 비해 반응속도가 떨어져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에서 지난 10일 전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 최근 고령 운전자로 인한 교통사고가 늘어난 사실이 드러난 것. 소비자원은 최근 고령 ...
-
브리즘, 80억원 투자 유치 성공
퍼스널 아이웨어 브리즘(대표 성우석•박형진[사진])이 8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지난 17일 브리즘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헬리오스벤처스와 KH벤처파트너스가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고, 한국산업은행은 2023년 시리즈A 투자에 이어 후속 투자를 단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브리즘의 누적 투자 금액은 총 195억원...
-
정읍시, 기초수급자에 안질환 의료비 지원
전북자치도 정읍시(시장 이학수)가 저소득층 노인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건강한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백내장, 녹내장 등의 안질환과 무릎관절 수술에 대한 의료비를 지원한다. 정읍시는 지난 13일 관내 60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눈과 무릎관절 수술비를 지원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눈 의료비 지원은 백내...
-
‘손상된 시력도 회복 가능하다?!’
이미 손상된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이 도출됐다. 지난달 3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은 망막신경을 재생시켜 망막질환자의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의 3월 26일자 온라인에 발표된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물질은 손상된 망막 자체를 ...
-
정부의 2차 의료개혁 방안에 관련단체 반발
정부가 지역•필수 의료 강화,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등의 내용이 담긴 ‘의료개혁 제2차 실행 방안’을 발표한데 대해 의료계는 물론 환자와 시민단체 모두 이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대통령실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위원장 노연홍)는 비급여실손보험의 체계 개편과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지역병원 육성 등을 골자...
-
구글, 스마트글라스 개발 재도전
구글이 스마트글라스를 위한 시선추적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회사의 인수를 추진하는 등 관련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1일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구글의 인수팀이 캐나다 온타리오州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애드호크 마이크로시스템의 인수를 위한 최종 협상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거래의 인수금액은 1억 2...
-
실손보험 개편 정책, 저소득층에겐 불리
실손보험 개편에 의한 비급여 남용 억제로 의료비의 지출을 줄이겠다는 정책이 오히려 저소득층의 치료 선택권을 줄이는 것은 물론 사실상 의료 민영화를 유도하는 정책으로 변질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지난 18일 개최된 전체회의에서 관리급여와 병행진료 금지 대상이 되는 비급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이...
-
편두통 환자, 개방각녹내장 발병 주의
편두통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개방각 녹내장(OAG)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4일 발표된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의 김형준 박사가 주도한 해당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민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2002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를 기반해 1,103,3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됐다. 데이터 분...
-
‘건성 황반변성 치료’에 신기원
연령과 관련한 건성 황반변성(AMD)은 70세 이상 노년층의 주요 시력상실의 원인으로 황반의 비정상적인 변화로 시력이 감소하고 사물이 왜곡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일반적인 건성 AMD의 치료법은 유리체 내 주사인데, 이로 인한 합병증에 대한 우려 등으로 제한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천연물신약개발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