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
독일 유아들의 전용 시기능 검안센터 ‘Sehschule’(2)
지난 호에 언급한 독일의 시기능 검안센터(Sehschule)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옵토메트리스트(optpmetriste)와 제슐레(Sehschule)에서 검사를 담당하는 시기능 전문 검사자(orthoptist)와의 차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우선돼야 할 듯싶다. 독일의 옵토메트리스트는 사람들의 눈에 관하여 더욱 광범위한 영역을 전문으로 하는 안경광학...
-
유아들의 전용 시기능 검안센터 ‘Sehschule’
독일에서 아이를 키우는 재외국민이라면 아이를 안과에 데리고 갔을 때 가장 생소하게 다가오는 공간이 있다. 독일어로는 ‘Sehschule’로 ‘보다’라는 뜻의 ‘Sehen’과 ‘학교’라는 뜻의 ‘Schule’가 합쳐진 용어다. ‘보는 학교’ ‘보는 것을 배우는 학교’ 등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필자 역시 독일어로 직관적으로 다가오는 이 용...
-
학제 간 협업에 열심인 독일 안경광학계
한국과 독일은 안경광학과 학업 체계부터 안경사와 검안사의 업무영역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시력 측정과 안경의 조제 가공 업무를 제외하고는 영역 차이가 더 크다. 이번 호에서는 독일 안경광학의 협업 업무영역에 대해 살펴보겠다. 한국에서 안경사는 타 직종과의 협업이 극히 제한적이기에 관련 내용을 안경광학과 ...
-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위한 광학계의 방향
지난 5월 13일부터 15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Opti 2022’가 개최됐다. 독일의 대표적인 안경박람회인 옵티전은 지난 2년간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행사가 취소되고, 올해 전시회도 1월이 아닌 5월로 순연되었으나 행사 규모는 예전처럼 성황리에 열렸다. 오늘날 모든 인간활동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지속 가능성은 범지...
-
COVID-19 백신 접종 후 나타나는 눈의 자각적 증상
한국안광학회(회장 심현석)는 연구논문, 증례보고, 및 해설논문, 초청논문, 교육활동, 임상자료 등을 게재함으로써 학술적 발전과 안경, 안보건 관련분야 산업체의 발전을 위한 학술적 연구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제27권 1호의 발행 논문 중 ‘COVID-19 백신 접종 후 나타나는 눈의 기능 변화 연구(저자: 위성현*, 조현국, 유동식, 김상...
-
‘5년 후에는 안경사 개인의 능력 따라 기술혁신 일어날 것’
한국 안경업계의 5년 후는 어떤 모습일까?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고, 또 지난 몇 년간 안경업계의 전문성을 위협해 온 민간업체들의 등장으로 인해 미래를 부정적으로 예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지난 2021년 10월, 독일의 안경사를 위한 월간지 「Focus」는 이런 상황을 예측하는 독일 안경업계 종...
-
마스크 착용과 안구건조증의 연관성
코로나 팬데믹 시대, 마스크 착용은 이제 우리 삶의 일부가 되었다. 하지만 마스크 착용 시 안경 김서림 등의 이유로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의 불만도 커질 수밖에 없다. 안경의 경우 그 불편함이 눈에 보이는 편이지만,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의 불만은 상대적으로 가시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안경원 그리고 안과를 내원하는 ...
-
효과적이고 전문화된 굴절검사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대표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외부영향에 밀접하다. 특히 새로운 기술로 인해 전통적인 직업들이 사라지는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매해 ‘뜨는 직업’과 ‘지는 직업’으로 분류되는 직업들을 바라보며, 안경사 직종의 미래 위치는 어떠할까. 전통적인 안경사 직업이 살아...
-
아이세이버 교육팀이 전하는 ‘근시의 세계적 발병’
신학기가 시작되면서 자녀들의 시력저하(근시진행)에 대해 걱정하는 부모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특히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학생들의 실내생활이 증가하고, 대부분의 학교가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면서 학생들의 근시진행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뉴스도 쉽게 접할 수 있다. 최근 국제학술지 「British Journal of Ophtha...
-
독일의 ‘스포츠비전 검안사’란…?
지난 기사에서 한국의 안경광학과 졸업생들에 비해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한 독일의 안경사에 대해 짧게 설명했었다. 이번엔 스포츠 전문 옵토메트리스트, 즉 스포츠비전 검안사에 대해 소개하겠다. 우리나라에서도 스포츠비전을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독일에 비해 그 비중이 극히 적으며, 특히 대학 교과과정에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