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포커스
-
국내 성인 ‘10명 중 7명’이 안경 쓴다
우리나라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안경 사용률이 약 71%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김종석)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실시한 ‘2023년 안경 사용실태 조사’한 이번 조사로 국내 성인은 10명 중 7명이 안경류를 착용하고, 1987년에 첫 조사한 이후 안경 착용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번 조사에서 만19세...
-
대한안경사협회•옵틱위클리 캠페인②
세상에는 전문가들이 수없이 많다. 세상의 모든 직업이 전문가를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한국 표준직업 분류에 의하면 한국인의 직업 수는 12,145가지(2020년 기준)나 된다. 전문가(專門家)의 사전적 의미는 기술, 예술, 기타 특정 직역에 정통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이 있는 사람 또는 그 분야의 마스터를 말한다. 흔히 전문가는 ‘예측하...
-
“추석선물은 ‘안경’이 최고입니다”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이 다가오면서 추석선물을 고르는데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어떤 선물을 보내야 따스한 마음을 전할까 다양한 선택지를 두고 수없이 고심하는 것. 지금까지 추석선물로 가장 많이 선택된 용품은 건강식품이나 수산물, 육류세트, 과일, 와인 등 술 세트, 햄 같은 육가공, 상품권, 화장품 등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
-
대안협, 안경렌즈社 홈쇼핑 방송에 강력 대응
최근 모 외국계 안경렌즈 회사가 홈쇼핑을 통해 안경렌즈의 상담예약 방송을 진행, 이에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김종석)가 강력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대안협은 이번 홈쇼핑 광고가 고객에게 특정 안경원을 방문 안내한 구매 유도행위로서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제14조에서 금지하는 고객 유인•알선행위가 의심되고, 특히 기존 안경...
-
대한안경사협회•옵틱위클리 캠페인①
개구리나 하루살이는 세대를 구분하기가 비교적 쉽다. 개구리는 물속에서 생활하는 유충과 올챙이 때와 물 밖에서 성체로 살아가는 것이 쉽게 구별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사람은 세대 구분이 다소 애매하지만, 동서양 모두 한 세대를 보통 30년으로 규정한다. 성경에서도 한 세대를 30년으로 말한다. 한 세대란 동시간대에 살고 있는 ...
-
월 매출 2억 안팎 올리는 안경원들… 비결은?
한국의 유통시장은 세계적인 유통기업 월마트가 쫓겨날 만큼 생존경쟁이 치열한 정글 같은 곳이다. 더구나 국내 유통업은 소비자의 구매 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급격히 변하면서 경쟁이 더욱 더 치열해졌다. 전 세계 500대 주요기업 중 350개 기업이 망하는 치열한 경쟁의 틈바구니에서 국내 자영업자들이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
-
‘블루라이트 차단렌즈’가 효과 없다?
국내 안경업계가 ‘블루라이트 차단안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외신보도로 충격에 휩싸였다. 지난 18일 영국 런던시티대•모나시대 의대•호주 멜버른대 공동연구팀이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체계적 문헌검토 데이터베이스」에 발표한 ‘성인의 시력, 수면 및 황반 건강을 위한 블루라이트 차단안경...
-
유럽 콘택트렌즈 회사들 긴장… PFAS 규제하나?
유럽에서 생산하는 콘택트렌즈와 안경렌즈 김서림 방지제 등 일부 안경류가 규제 대상에 포함될 것인가. 최근 유럽연합(EU)이 오는 9월부터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PFAS(per-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과불화화합물)의 규제를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돌면서 유럽의 모든 콘택트렌즈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여러 소프트 ...
-
진흥원 신임원장 선임 2달째 오리무중
(재)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의 제8대 원장 선임이 장기화 조짐을 보임에 따라 안경업계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당초 진흥원은 지난 6월말까지 신임원장을 선임할 계획이었지만, 그간 적합한 후보자의 부재로 현재 진흥원은 도기태 총괄본부장의 원장 직무대행 체재로 운영되고 있다. 진흥원의 한 내부 관계자는 “지난 6월에 있었던 1차 ...
-
온라인에 움찔한 변호사와 의사들… 안경사는?
국내 최대 이익집단인 의사와 변호사 쪽에도 온라인 서비스가 등장해 관련단체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는 가운데, 그 불똥이 안경원으로 튈 것이 우려되고 있다. 먼저 대한변호사협회는 법률 온라인 플랫폼 ‘로톡(LawTalk)’으로 깊은 고민에 빠졌다. ‘로톡’이 법률문제로 고민하는 의뢰인들에게 온라인에서 적합한 변호사를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