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롱한 보석인 진주와 바닷가에 수없이 흩어져 있는 조개껍질의 성분은 똑같다.
이런 똑같은 성분 때문에 평범한 일반 조개도 진주를 만든다.
다만, 일반 조개들이 만들어내는 진주는 빛깔도 형편없고 모양도 동그랗지 않아서 상품 가치가 없다.
일반 조개들이 진주를 만들기 위해 모래를 품을 때 생기는 고통을 참지 못하고 모래를 뱉어내어 못난 진주를 만드는 것이다.
이에 반해 진주조개는 자신의 속살에 파고드는 모래알의 고통을 참아내며 조그만 새끼 진주를 ‘나카’라는 체액으로 감싸며 고귀하고 영롱한 진주를 만든다.
진주조개가 모래의 침입으로 생기는 고통에도 모래를 뱉어내지 않고 수명이 다할 때까지 오랜 기간 조그만 진주에 체액을 묻히며 조금씩 성장시키는 것이다.
빛이 영롱하고 모양이 완벽한 진주는 진주조개의 고통 속에서 탄생한다.
시력이 낮은 이들에게 시력을 보전해주는 안경도 고귀한 진주와 다르지 않다.
지금은 안경이 너무 흔해 그 소중함이 퇴색했지만, 안경이 저시력인에게 세상을 밝히고 사물을 정확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영롱한 진주와 다르지 않다.
숙련된 전문성이 축적된 안경사들의 오랜 경험에 의해 처방 조제되는 안경은 진주를 만드는 진주조개와 다름없다.
그런 면에서 진주처럼 고귀한 안경을 가격만 내세워 판매하는 것은 마치 일반조개가 못난 진주를 만드는 것과 다르지 않다.
안경사의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은 진주조개의 체액인 ‘나카’와 같다.
어느 심리학자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이 실험은 탁자 위에 맛있는 과자를 놓고 15분을 기다리면 과자를 2배로 주겠다는, 어린이들의 참을성과 인내심을 테스트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 어떤 아이들은 15분을 기다려 약속대로 과자 2배를 받은 반면에 어떤 어린이들은 15분을 참지 못하고 과자를 먹어서 더 이상 과자를 받지 못했다.
어른들이 보기에 우스운 실험이었지만, 어린아이들에게 과자를 두 배로 준다는 것은 큰 보상이었고, 15분간 기다리는 것은 집중력이 필요한 인내력 테스트였다.
심리학자는 20여년 뒤에 이 실험을 거친 어린이들의 인생을 추적 조사했는데, 그 결과는 놀랍게도 과자를 더 얻기 위해 당장의 욕구를 참아냈던 자제력이 있는 어린이들은 인생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은 세계 3대 심리학자이면서 ‘마시멜로 실험’으로 유명한 월터 미셀이 고안한 실험이다.
안경사는 진주조개의 정성과 마시멜로의 인내심을 갖고 안경원을 소중하게 가꾸어야 한다.
국가로부터 유일하게 부여받은 고유의 업권을 소중히 지키고 키워야 한다.
지금처럼 안경사에게 부여된 책임과 권한을 오로지 저가격으로 승부한다면 못난 진주를 만드는 일반조개와 다르지 않다.
안경사들이 진주조개처럼 안경원을 정성과 인내로 고귀하게 만들어 그 가치를 정당하게 보상 받아야 한다.
그만큼 안경은 진주처럼 고귀하고 영롱하다.
출처: 옵틱위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