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웹 사이트에 표현된 시각 이미지의 외시적 의미 분석 연구 시각 이미지 기표 대상은 안경, 얼굴이 대다수 업종 특성, 개별 안경원의 브랜드 정체성 부각이 요구 홍성일 교수(경운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2025-01-31 17:40:16

서론

웹 사이트에서 표현되는 문자나 그림, 동영상, 텍스트 등의 시각 이미지는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에서 단편적으로 존재하는 대상이 아니라 참여자, 즉 사용자의 행위를 유발시키는 지시체로써의 역할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메인 화면에 표현된 의미작용은 단순히 의미 전달의 개념에서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의미를 생성하는 적극적 해석자로서 해독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기호의 시각 이미지를 보는 사용자가 얼마만큼 기업과 브랜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용하여 참여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런 해석의 의미작용에 가장 객관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의미작용이 바로 정보적 기호층 위에 있는 외시적 의미(denotative meaning) 작용이다. 

 

외시적 의미작용을 통해 사용자는 시각적 메시지를 객관적이며 직관적 해석이 가능하고, 해석을 통해 일방적 전달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하고 의미나 정보, 지식을 공유하게 만든다. 

 

안경원 웹 사이트도 안기능, 안보건과 패션 트렌드라는 양면성을 전달하고 표현해야 하는 업종의 특성상 이런 시각 이미지의 외시적 의미작용이 중요하다. 

 

안경원을 소개하거나, 제품과 가맹점 문의 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제공에서 탈피해, 표현과 성격이 달라지는 홍보 매체가 되고 있으며 웹 사이트의 정보구조와 메뉴는 점점 다양화되고 많아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정보성과 조형성, 심리적 반응을 기반으로 한 메인 화면의 시각 이미지도 외시적 의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구성이 되어야 한다. 

 

 

대상 및 방법

국내 프랜차이즈 안경원 브랜드의 웹 사이트의 메인 화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웹 사이트에서 시각 이미지의 외시적 의미 개념을 살펴보고, 메인 화면에 표현된 시각 이미지 기표 대상과 의미작용의 외시적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시각 이미지 기표 대상으로는 안경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얼굴이 많았으며, 로고와 사람, 안경원이 뒤를 이었고, 손과 도형이 동일하게 많았다. 

 

외시적 의미작용 표현으로는 안경을 착용한 모델에 웃음이나 미소 표정으로 위•아래를 응시하며 모델을 강조하는 표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외관이나 인테리어, 오픈식 등의 직접적인 기표 대상인 안경원 내•외부를 활용한 의미작용 표현이 많았다. 

 

기표 대상 사용이 가장 많은 안경원 브랜드는 6개의 K비젼안경으로 나타났다. 

 

글라스바바 외 4개 안경원이 5개로 뒤를 이었으며 이노티와 이안경, 으뜸플러스안경이 4개였다. 

 

그랑프리안경 외 7개 안경원이 3개, 씨채널, 아이젠트리, 일공공일안경이 2개를 사용하였는데 대부분의 안경원은 3개와 5개의 기표 대상으로 삼았다. 

 

글라스박스, 아이세이브, 아이에비뉴, 리스펙안경은 1개의 기표 대상만으로 외시적 의미작용의 표현이 되도록 하였다(표1). 

 

결론

기표 대상과 외시적 의미작용 표현은 업종의 특성, 기본 정보를 알려 주면서 메인 화면의 목적과 의미를 알리고 콘셉트와 내용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안경원의 특성과 이미지를 알리는 대상과 표현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메인 화면 디자인에서 디자인 콘셉트에 따른 시각 이미지를 반영할 수 있는 기표 대상으로 목적성 있게 선정되어야 한다. 

 

기표 대상의 많고 적음보다는 외시적 의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호적 표현 수단과 디자인 방향에 충실한 레이아웃 구성요소로 활용 되어져야 한다. 

 

기표 대상은 시각적 호소력이 높고 몰입이 되며 의미작용에 가장 객관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메인 화면에 배치하고 구성되어야 한다. 

 

안경원이라는 업종의 성격과 함께 안경원 브랜드라는 뚜렷하고 명확한 아이덴티티가 나타나 업종과 브랜드에 대한 사용자의 우호적 이미지가 형성할 수 있는 기표 대상과 외시적 의미작용이 되어야 한다. 

 

메인 화면의 시각 이미지는 브랜드의 전략 변화, 계절적 요인, 프로모션 등에 따라 콘셉트와 표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외시적 의미작용도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전달되고 이미지 형성이 될 수 있도록 기표 대상과 표현이 되어야 한다. 

 

웹 사이트 메인 화면에서 시각 이미지의 외시적 의미작용은 웹 사이트에서 매우 중요한 조형적 디자인 구성으로 시각 이미지의 표현 방법, 시각 이미지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특성, 심리 반응에도 영향을 끼친다. 

 

안경원의 업종 특성과 개별 안경원의 브랜드 정체성을 부각할 수 있는 시각 이미지의 외시적 의미작용이 되는 기표 대상과 표현이 될 때 안경원 브랜드 웹 사이트 메인 화면의 차별화와 사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참고문헌] Hong SI.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ual elements on the main screen of optical shop websites.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23;28(4):279-288. DOI: http://dx.doi.org/10.14479/jkoos.2023.28.4.279 외 34건

원문 참조: 「한국안광학회지」 제29권 4호, 163~172쪽. 2024년

논문의 판권은 한국안광학회지에 있으며 저자의 동의 하에 요약본을 게재함.

저자: 홍성일 교수(경운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출처: 옵틱위클리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