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도수안경을 온라인 판매할 때 발생되는 시광학적 문제(1) 안경을 온라인 판매하면 안경의 광학적•해부학적 요소 무시되어 시력 손상 조제가공 PD 오류, 단안 PD 오류 등 위험도 증가 전인철 교육부회장 2021-06-30 21:33:57


안경사는 국가시험을 통해 면허증을 취득한 국민의 시력보건을 위해 종사하는 보건의료인이다.

 

안경사의 직무는 굴절이상 또는 시축의 불일치(안위)의 문제로 인해 사물이 흐려 보이거나 안정피로 등을 호소하는 사람에게 편안한 시 생활이 가능하도록 안경을 제공해주는 일을 한다.

 

현재 국내 43개 안경광학과에서 한 해 약 48,000명의 안경사가 배출되어 안경원, 안과병의원 그리고 관련 기업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캐나다 몬트리올 검안대학에서 실시한 연구[Evaluations of prescriptions and frames purchased from online eyewear vendors] 결과를 보면 온라인으로 안경처방전에 입력하여 구매한 안경을 분석한 결과, 온라인 구매 16개의 안경 중 13개의 안경이 동공간의 거리(PD) 및 조제 등의 오류가 있었다고 제시한 바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안경은 착용자의 패션을 위한 미적요소도 고려해야 하지만, 안경의 근본적인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광학적 요소와 해부학적 요소가 매우 중요하다.

 

광학적 요소란 조제가공 PD(Pupillary Distance, 좌우 광학중심점간의 거리), 조제가공 Oh(Optical Height, 광학중심점 높이), 경사각, 안경렌즈의 커브, 굴절률, 앞 수평면 휨각 등을 말한다.

 

해부학적 요소란 안경테가 광학적 요소와 결합하여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피팅(fitting)을 의미한다.

 

안경사의 직무 중 피팅은 가장 중요하고도 많은 경험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수안경의 온라인 판매가 허용된다면 이 경우 유발할 수 있는 시광학적 문제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1) 조제가공 PD 오류로 인한 프리즘 유발

사람의 눈은 두 개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장점이 있다.

 

우선 한 눈으로 보는 것보다 두 눈으로 보게 되면 시력과 주시하는 시야의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또 한 가지는 거리감 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안경렌즈에는 광학중심점(초점)이 있다.

 

이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프리즘이 발생 되어 입사되는 빛이 다른 방향으로 틀어지게 된다.

 

안경 도수가 같다고 해도 다른 사람의 안경을 착용하면 어지럽고 불편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 것이다.

 

도수가 동일해도 착용하는 사람마다 PD가 다르기 때문에 시선이 통과하는 위치가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에 일치하지 않아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된다.

 

광학 중심점과 일치하지 않으면 프리즘 영향으로 사위가 유발되어 입체감이 떨어지거나 안정피로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2) 단안 PD 오류에 의한 프리즘 유발

사람은 머리의 정중선으로부터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의 거리가 모두 일치하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발행되는 처방전은 대부분 양안 PD만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 정확한 광학적 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단안 PD에 의한 조제가공이 바람직하다.

 

단안 PD 오류가 발생된 안경은 착용자의 동공 중심과 안경의 광학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아 프리즘이 시선의 각이 틀어지게 되고 프리즘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두 눈의 도수가 다르거나 누진굴절력렌즈는 단안 PD를 무시하고 조제한 경우 안정피로는 물론 시력의 흐림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

- 다음 호에서는 온라인 판매 시에 발생될 수 있는 광학중심 높이, 경사각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출처: 옵틱위클리

TAG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