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
각막 난시가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축 회전 변화에 미치는 영향(1)
한국안광학회(회장 박미정)의 학술지 「한국안광학회지」가 지난 6월 30일에 제24권 2호를 발행하였다. 매년 4회의 학술지를 발간하는 한국안광학회의 이번 「한국안광학회지」에는 안경학, 콘택트렌즈학, 안광학, 안기능검사, 안과학, 임상사례의 학술 분야를 포함한 11편의 논문이 실렸는데, 편집위원회에서는 안경업계의 발전을 위해 ...
-
내사시를 동반한 하사시의 시기능 훈련 임상사례(2)
▶결과 및 고찰시기능 훈련 후 rail walking 등의 훈련과정에서 신체 균형감각과 눈과 손의 협응 능력이 향상되었다. 외안근 운동검사(EOMs)에서 jerky, poor tracking과 over shooting이 감소하고 매끄러운 안구운동이 관찰되었다. 또한 계단에서 내려오는 속도가 늦었던 대상자는 훈련 후 자신감 있고 좀 더 빠르게 내려 올 수 있었다. 훈련 전과 4주간...
-
내사시를 동반한 하사시의 시기능 훈련 임상사례(1)
지난 2007년부터 12년 연속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시행하는 학술활동지원사업의 우수 학회지로 선정돼, 매년 학술지원금을 받고 있는 한국안광학회(회장 박미정)의 「한국안광학회지」는 안경업계의 위상을 높이고 있는 소중한 자산이라 할 수 있다. 매년 네 차례 발간되는 「한국안광학회지」는 지난 3월 31일에 제24권 1호를 선...
-
미세먼지가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에 미치는 영향
서론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는 일반적인 먼지들보다 크기가 작아 호흡기를 통해 폐와 기관지 등에 침투하여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미세먼지가 눈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알레르기...
-
유발된 굴절이상이 보행 패턴에 미치는 영향
서론 보행은 단순히 걷는다는 개념을 넘어 환경 인지와 신체 이동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합쳐진 것으로 시각, 전정, 고유수용 시스템에 의해 조정되는 감각정보와 다양한 근육과 관절의 협응이 요구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보행 시에 시각 정보는 지면 상태를 인식하고 장애물 회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 지면을 가로질러 갈 ...
-
알코올 섭취 후 일시적인 굴절변화와 눈 광학 성분의 변화
알코올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의 일종으로써 ‘The Foundation for a Drug-Free World’는 알코올을 섭취하면 단기적으로 불분명한 발음, 졸음, 오심, 구토, 두통, 호흡곤란, 판단결여, 인지력 감퇴, 빈혈, 혼수, 기억력 상실 그리고 시력과 청각 오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본 논문은 연구에 동의하고 모든 실험적 ...
-
정확한 안경 조제를 위한 타각적 굴절검사
“요즘은 안경을 얼마에 팔아야 할지 도대체 모르겠어요.” 오랜만에 놀러온 후배가 푸념겸 하소연처럼 내뱉는 첫 마디이다. 이어지는 푸념 한마디 더 들어보자. “선글라스와 안경테는 말할 것도 없지만 콘택트렌즈 가격파괴에 이제는 안경원의 보루처럼 여겨졌던 안경렌즈마저도 ‘E50’이라는 체인에서 갈가리 찢어버렸네요. 안...
-
의료보험에 적용되어야할 노안안경
2001년 인구통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00년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의 7%를 초과했고, 2002년에는 8.3%로 본격적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19년에는 14%, 2026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이 필요로 하는 돋보기 등 노안 안경의 의료보험 적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
난독증 잡아낸 시기능훈련… 틱 증상도 개선
실제 체험수기책 보면 머리 아프던 진우는 안구협응이상 저희 아들은 현재 초등학교 3학년입니다. 시기능훈련은 지난해 아들이 2학년에 재학 중일 때 평소 지인이었던 안경사의 추천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저의 아들은 초등학교 입학할 당시에도 글자를 거의 몰랐으나 주변에서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깨우친다고 걱정하지 말라고 하...
-
정서행동장애•학습장애엔 시기능 이상 의심해야
국내 특수교육 통계에 의하면 정서행동장애로 선정되어 특수교육을 받고 있는 어린이가 2.87%라고 한다(교육부, 2015). 정서행동장애로 인해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종종 학습문제로 이어지거나 또는 학습장애와 동반되기도 한다. 그러나 정서행동장애나 학습장애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은 시기능이상이 있는 경우와 매우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