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안경사의 업무범위… 말레이시아에서 길을 묻다
  • 김태용 기자
  • 등록 2024-04-30 15:59:51

기사수정
  • 말레이시아는 4년제 관련 대학 졸업하면 검안사로 약물까지 허용
  • 국내는 검안사 업무해도 검사항목과 장비 사용 제한 받아

국내 안경사 관련법이 공포•시행된 때는 1989년이다. 

 

그러나 35년이라는 오랜 기간이 지났음에도 안경사의 업무범위는 지난 2012년 콘택트렌즈의 안경원 단독판매 법률이 개정된 것 이외에는 꼼짝 않고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 

 

이에 반해 말레이시아는 1991년(Optical Act 1991)에 등록 요건과 실무 필요성 등이 명시되어 등록에 인정되지 않는 학위를 소지한 경우에는 전문자격평가(PQA, Professional Qualifying Assessment)에 합격하도록 법을 개정했다. 

 

즉 말레이시아안경사협회(AMO)에서 옵토메트리스트 제도를 신설하기 위해 학제를 4년제로 통일시킨 동시에 기존 안경사들에게 별도의 교육을 실시해 옵토메트리스트로 상향시켰다. 

 

말레이시아가 30여년 전까지는 우리나라 안경사와 동일하게 옵토메트리스트 제도 없이 업무범위가 비슷했지만, 1991년에 법 개정을 통해 유럽의 검안사에 준하는 업무범위를 확보해 지금은 미국, 호주와 유사하게 검사를 위한 약물까지 허용 받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의 옵토메트리스트 면허는 별도의 시험과정 없이 옵토메트리 관련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면허증을 취득한 후 보건복지부 산하의 위원회에 등록된다. 

 

또 옵티션은 핑크(pink)와 블루(blue) 2개의 등급으로 구분해 광학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이 같은 규정은 말레이시아 보건부 산하기관인 광학위원회(Malaysian Optical Council)에 의해 규제되고, 이 위원회는 검안사와 안경사의 실무 기준과 자격을 감독한다.

 

결국 국내 안경사들이 쟁취•확보해야할 업무범위가 말레이시아에는 고스란히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지는 국내 안경사들의 업무범위 확대를 다시 한 번 환기시키기 위해 세계 안경사와 검안사의 업무범위를 게재한다.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코로나 백신 접종하면 포도막염 재발한다? 예전에 포도막염을 앓았던 환자의 경우 코로나19 예방접종하면 포도막염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한양대학교 의대 안과연구실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 데이터베이스에서 과거 포도막염 병력을 가진 환자 중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은 473,934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최대 16.8%...
  2. 건강보험 보장률 전년보다 소폭 상승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도보다 소폭 상승한 65.7%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2022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의원을 중심으로 비급여 본인 부담률이 하락하면서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보다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정 본인부담률은 19.7%로...
  3. 안경 서비스가 세계 최고인 국가는 ‘대한민국’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번쯤 반드시 찾아야할 명소로 유명한 대한민국 안경원.  국내 안경원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하나 같이 한국 안경원의 무료 시력검사와 정밀 처방과 조제, 또 전문적인 안경피팅을 제공하면서도 최저가격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은 시력검사부터 안경 착용까...
  4. 대안협, 협회장 공약 차질 없이 추진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허봉현[사진])의 제22대 집행부가 출범과 함께 협회장 직선제 선출, 회원소통 강화 등 협회장 공약사항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협회장 직선제 선출 문제는 지난 9일 제1차 직선제 추진위원회(위원장 이효재)를 개최해 제반 사항을 검토한 후 관련 설문조사를 지난 29일까지 진행했다.  또한 대안협은 회원 소...
  5. 어린이 물안경 해외직구 못하나? 정부가 국가인증통합마크(KC)를 받지 못한 제품의 해외 직접구매를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사흘 만에 철회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해외 직구품목에서 제외했던 KC인증을 받지 못한 어린이용 안경테와 선글라스, 어린이용 물안경 등 어린이제품법에서 규제하는 34개 품목을 종전처럼 해외직구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지난 16...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