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금감원, 백내장 보험금 지급 현황 조사
  • 허정민 기자
  • 등록 2023-11-15 17:08:14

기사수정
  • 보험금 지급 기준 재정비 연내 마무리
  • 지급 기준 완화 예상

금융감독원이 백내장 실손의료보험금 지급의 현황 파악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관련 보험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지난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보험사를 대상으로 백내장 실손보험금 지급 관련 현황의 조사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해당 조사엔 백내장 실손보험금을 신청한 연령대, 성별 분포 및 백내장 수술에 사용되는 인공수정체 중 국민건강보험 급여항목인 단초점렌즈 사용 보험금 지급 등의 자료가 포함됐다. 

 

이는 지난달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백내장 보험금 미지급에 따른 소비자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으로 백내장 실손보험금 지급 기준 완화 전 사전조사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더욱이 대통령실의 국민제안 추진 과제로 꼽힌 ‘백내장 보험금 지급심사 기준 재정비’를 연내 마무리해야 한다는 것도 금감원의 조사를 서두르게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달 국정감사에서는 ‘지난해 (보험사가)백내장으로 의료자문을 실시한 건수가 전년대비 7배 이상 증가했고, 이로 인해 부지급된 건수도 17배까지 늘었다. 즉 의료자문이 보험사에게 보험금 부지급에 대한 면죄부만 만들어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 이복현 원장은 ‘백내장 보험금의 부지급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고령층, 단초점렌즈 등 수술 필요성이 인정되는 부분은 보험금 지급의 기준 문턱을 낮출 계획”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다만 지난해 대법원이 백내장 수술 보험금 청구와 관련해 입퇴원 확인서가 있더라도 실질입원이 아닌 통원치료라면 통원치료 보험금만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결한 바 있기에 백내장 수술의 일률적인 입원치료 인정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서울시 중구의 한 안경원 원장은 “백내장 수술이 예전처럼 입원치료로 인정받으면 막대한 보험금 지급으로 무분별한 수술이 증가할 것이고, 특히 이 과정에서 노안교정수술도 덩달아 늘어나 안경원 매출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의 1332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경원의 3종 장애물, 어떻게 뛰어넘나? 코로나에 이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 현상으로 어려움이 많은 일선 안경원에 안과병원에서 시행하는 드림렌즈, 라섹수술, 노안교정수술이 매출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국내외의 불경기 여파로 매출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안경원에 안과에서 판매하는 드림렌즈와 2가지 수술이 매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  특히 성장기 학생...
  2. 심평원, 인공눈물 건강보험 혜택 축소 ‘만지작’ 안구건조증 등의 질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인공눈물’의 건강보험 급여가 축소돼 내년부터 소비자가격이 현재보다 최대 10배 인상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6일 개최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제9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인공눈물, 즉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제’에 대해 급여 적정성이 떨어진다는 논의에 이...
  3.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社 검찰에 송치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주문한 콘택트렌즈를 제휴 안경원에 안내해 주는 픽업 서비스 업체가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제14조 위반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를 운영 중인 W社에 대해 소비자의 유인•알선을 금지하는 의료기사법 위반혐의로 고발돼 검찰 수사가 진행 중...
  4. 해외직구 피해 사례 빈발 해외 유명 브랜드의 가품 선글라스를 판매한 후 소비자의 정당한 주문 취소 요구를 거부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의 피해 사례가 급증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23일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쇼핑몰 ‘시크타임’이 가품을 판매한 후 취소를 거부해 지난 8월 28일부터 이달 5일까지 해당 사이트 관련 피해 상담은 총 23건이 접.
  5. 안경사 국시에 컴퓨터시험 도입 오는 2025년도 안경사국가시험부터 컴퓨터시험(CBT)이 도입될 전망이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원장 배현주)은 지난 17일 2025년도부터 2026년도까지 순차적으로 약사 등 5개 직종 8개 국가시험에 CBT를 확대•도입한다고 밝혔다.  국시에서 CBT 도입은 이미 의사(2022), 치과의사, 한의사, 요양보호사(상시), 1급 응급구조사(2023) 등 1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