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비자의 안경원 신뢰도 ‘저조’
  • 김보라 기자
  • 등록 2018-04-17 18:12:15
  • 수정 2018-04-17 18:14:02

기사수정
  • 본지 설문 결과, 소비자 66%가 ‘안경원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변
  • 안경원의 파격할인과 서로 다른 안경가격이 불신 조장


▲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6%가 ‘안경원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해 이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사진은 일선의 한 안경원 모습(이 자료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이 없습니다).

국내 소비자들이 안경원을 신뢰하는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본지가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일주일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일반 소비자 3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로써 안경원을 약간 신뢰하지 않는다는 소비자가 58.9%(216), ‘매우 신뢰하지 않는다는 소비자가 7.1%(26)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응답자의 66%(242)가 안경원을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안경사들의 보다 근본적인 조치와 노력이 시급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번 조사의 첫 번째 질문인 소비자의 안경가격에 대한 만족도(질문 1 참조)’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2.9%(231)불만족 한다로 답변하고, ‘매우 불만족 한다는 응답도 15%(55)를 차지해 전체적으로 소비자의 절대 다수인 77.9%(286)가 불만족하다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만족한다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각각 3.8%(14)2.2%(8)에 불과했다. 소비자의 10명 중 8명 정도가 안경가격에 불만족하고 있는 것이다


십수년 전부터 안경가격이 계속 하락해 이제는 거품이 거의 빠졌는데도 아직도 안경가격을 불신하는 소비자가 이처럼 많다는 것은 매우 충격적인 결과로써 안경사들의 보다 적극적인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어 예전의 안경가격과 현재 안경가격에 대한 의견(질문 2 참조)’을 묻는 설문에서는 예전보다 약간 비싸졌다는 응답이 52.6%(193), ‘예전보다 많이 비싸졌다는 응답이 32.2%(118)로 각각 조사되어 전체 조사 대상자의 84.8%(311)가 안경가격이 예전보다 상승했다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예전보다 약간 싸졌다예전보다 많이 싸졌다는 답변은 각각 5.7%(21)1.4%(5)에 그쳤다. 10여 년 전의 중굴절렌즈 가격과 뿔테 가격 등을 떠올려보면 안경가격이 많이 하락했음에도 일반 소비자들의 인식은 여전히 안경가격이 비싸졌다는 것에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안경원의 과대광고가 불신감 조장

이어 안경의 가격정찰제에 대한 설문에서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의 가격정찰제에 대한 의견(질문 3 참조)’을 묻는 설문에서 찬성이 61%(224), 반대가 37.6%(138)로 나타나 안경의 가격정찰제를 찬성하는 소비자가 곱절 가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격정찰제는 전국 어느 곳이나 동일한 상품은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한다는 것으로, 이는 소비자의 가격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서울 마포구의 한 안경원 원장은 온라인 포털 사이트에서 가격정찰제를 검색하면 연관검색어로 안경가격이 뜬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며 그만큼 소비자의 안경가격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 수준이라고 잘라 말했다. 계속해서 그는 가격정찰제는 안경원 뿐만 아니라 유통업체와 공장이 공동으로 참여해야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경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낮은 신뢰도는 곧바로 안경원의 신뢰도와도 직결되고 있음을 다음 설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의 안경원에 대한 신뢰도는 어느 정도인가?(질문 4 참조)’을 묻는 설문에서 응답자의 58.9%(216)약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매우 신뢰하지 않는다7.1%(26)로 응답해 조사 대상자 66%(242)안경원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이에 반해 매우 신뢰한다약간 신뢰한다3%(11)10.6%(39)로 각각 조사되어 안경원을 신뢰하는 소비자는 전체적으로 13.6%(50)에 그쳤다.



안경 가격정찰제가 신뢰 회복의 지름길

이번 조사에 참여한 한 응답자(, 33)근래 안경원에서 ‘90% 파격세일’ ‘1+1 이벤트등 할인행사를 많이 하는데, 이런 현수막을 보면 솔직히 안경은 이익이 얼마나 남아서 저런 파격세일을 하는지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응답자(, 41)“20대까지만 해도 안경사가 전문가라는 믿음이 있어서 시력 상담도 많이 했는데, 지금은 안경사들이 안경 판매하는 것에만 집중하고, 가격도 들쭉날쭉해 안경사의 말을 믿지 않는다솔직히 요즘 콘택트렌즈는 해외직구에서 구입하고, 선글라스나 도수테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백화점에서 구입한다고 말했다.


결국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결과는 소비자들의 안경원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고, 이런 불신의 가장 큰 원인은 안경원마다 다른 안경가격과 파격세일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안경의 가격정찰제의 전면 실시와 과대광고를 억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총 367명의 응답자가 참여했고, 응답자 연령층은 40(35.4%)20(27.8%)가 가장 많았고, 10(6.5%)60대 이상(1.4%)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번 설문의 신뢰수준은 98.3%이고 표본오차는 ±0.6%이다.



TAG
155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끔찍한 성수기 매출… 이젠, 고기능 렌즈로 승부하자! 안경원의 성수기로 알려진 4~5월 매출이 바닥을 헤매고 있다.  3월에 잠시 반짝했던 매출이 4월 들어 한겨울처럼 찬바람이 불고 있는 것.  아무리 국내 경기가 침체된 때문이라지만, 연중 가장 판매가 잘되는 성수기에 매출이 비수기 때처럼 떨어지면서 일선 안경사들의 걱정이 깊어지고 있다.  국회의원 총선거가 끝나면 경기가 회...
  2. 안경에 생명을 불어넣는 안경 피팅⑤ 미국의 나폴리언 힐(Napoleon Hill)은 세계적인 성공학 연구자다.  앤드류 카네기의 유지에 따라 1908년부터 1928년까지 20년에 걸쳐 앤드루 카네기가 건네준 507명의 각계각층의 저명인사들과의 인터뷰와 조사를 거쳐 성공 원리를 정리한 그는 마침내 1928년에 「성공의 법칙(The Law of Success)」을 완성하고, 이후 일반인 대상의 다이제스트판으로 ...
  3. 전국 영화관에 스마트글라스 보급 올해 안에 장애인과 외국인 관광객, 다문화가정 등 영화관람 소외계층을 위해 스마트글라스를 본격 도입할 예정이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의 영화진흥위원회는 ‘2024년 제5차 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확정, 이에 따르면 청각장애인에게 자막이 제공되는 스마트글라스를 제공해 최신 개봉영화를 극장에서 관...
  4. 식약처, 의료제품 분야 허가보고서 발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지난달 30일 2023년 의료제품의 허가•인증•신고 등의 현황을 담은 ‘의약품, 의약외품, 의료기기 허가보고서’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2023년 의료기기는 모두 7,065개 품목이 허가•인증•신고됐으며,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3건, 안경렌즈 99건 등 안경업계 관련해서는 총 102건이 포함됐...
  5. 신간소개/ 「안경사의 기술」 안경사 생활을 하면서 가끔 답답할 때 펼쳐보면 신통하게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안경사의 기술’은 30년간 안경원을 성공 경영해온 손재환 원장의 실전적 체험서이다.  안경원 준비부터 고객만족, 검안과 조제, 가공, 피팅까지 안경원의 모든 세세한 부분을 기록한 본서는 안경원 성공 경영의 올바른 길라잡이가 되고 있다. 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