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진흥원, 아이웨어와 패션 쇼케이스 성료
  • 허정민 기자
  • 등록 2023-09-15 19:12:25

기사수정
  • 서울 패션위크에 설치한 홍보 부스 성황
  • 안경의 패션화 자리매김

(재)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원장직무대행 도기태)이 서울패션위크 기간 중 안경과 패션 브랜드와의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홍보부스를 운영, 하루에 평균 1,1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흥원이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개최된 ‘2024 S/S 서울패션위크’에서 아이웨어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컬렉션을 선보여 행사장을 찾은 많은 시민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것. 

 

이번 아이웨어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에는 나인어코드×빅팍, 노운×두칸, 더블러버스×아조바이아조 등이 참여해 공항을 콘셉트로 디자인한 부스에서 아이웨어와 패션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한 제품을 전시했는데, 특히 이번 콜라보에는 참관객 누구나 제품을 직접 체험하는 공간으로 꾸며져 관객들의 참여도를 높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안경 브랜드 기업의 디자인 역량을 강화하고, K-아이웨어의 패션 아이템으로의 인식 전환을 위해 기획•참가했는데, 이번 지원사업은 지난 3월 안경과 패션 브랜드 기업에서 모집된 기업들을 1:1 매칭데이를 개최해 최종 참여 브랜드를 확정해 펼쳐졌다. 

 

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행사 기간 동안 K-아이웨어 브랜드와 제품의 홍보가 활발히 이뤄졌고, 특히 트레이드쇼 행사장인 디자인랩 D-숲에는 B2B 상담부스를 별도로 조성해 국내외 패션 바이어를 대상으로 약 3만달러(약 4천만원) 이상의 거래 상담이 이루어졌다”고 전했다. 

 

진흥원의 도기태 총괄본부장은 “K-아이웨어가 서울패션위크에서 패션 브랜드와의 디자인 협업을 통해 패션 아이템으로 완전히 자리매김했다”며 “우리 진흥원은 앞으로도 더 다양한 분야와 협업 지원을 통해 한국 안경 디자인을 더욱 발전시키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의 053)350-7853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경원의 3종 장애물, 어떻게 뛰어넘나? 코로나에 이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 현상으로 어려움이 많은 일선 안경원에 안과병원에서 시행하는 드림렌즈, 라섹수술, 노안교정수술이 매출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국내외의 불경기 여파로 매출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안경원에 안과에서 판매하는 드림렌즈와 2가지 수술이 매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  특히 성장기 학생...
  2. 심평원, 인공눈물 건강보험 혜택 축소 ‘만지작’ 안구건조증 등의 질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인공눈물’의 건강보험 급여가 축소돼 내년부터 소비자가격이 현재보다 최대 10배 인상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6일 개최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제9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인공눈물, 즉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제’에 대해 급여 적정성이 떨어진다는 논의에 이...
  3.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社 검찰에 송치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주문한 콘택트렌즈를 제휴 안경원에 안내해 주는 픽업 서비스 업체가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제14조 위반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를 운영 중인 W社에 대해 소비자의 유인•알선을 금지하는 의료기사법 위반혐의로 고발돼 검찰 수사가 진행 중...
  4. 해외직구 피해 사례 빈발 해외 유명 브랜드의 가품 선글라스를 판매한 후 소비자의 정당한 주문 취소 요구를 거부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의 피해 사례가 급증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23일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쇼핑몰 ‘시크타임’이 가품을 판매한 후 취소를 거부해 지난 8월 28일부터 이달 5일까지 해당 사이트 관련 피해 상담은 총 23건이 접.
  5. 안경사 국시에 컴퓨터시험 도입 오는 2025년도 안경사국가시험부터 컴퓨터시험(CBT)이 도입될 전망이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원장 배현주)은 지난 17일 2025년도부터 2026년도까지 순차적으로 약사 등 5개 직종 8개 국가시험에 CBT를 확대•도입한다고 밝혔다.  국시에서 CBT 도입은 이미 의사(2022), 치과의사, 한의사, 요양보호사(상시), 1급 응급구조사(2023) 등 1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