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우리 아이 안경은 안전품?’
  • 김보라 기자
  • 등록 2023-03-15 21:38:51

기사수정
  • 국표원, 어린이제품 888개 안전 기준 조사
  • 선글라스 등 11개품서 유해물질 검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산하의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이 학용품, 완구, 유아용 섬유제품을 비롯해 어린이 안경 등 888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28일 국표원의 발표에 따르면, 유해 화학물질과 내구성 등 안전기준을 위반한 어린이제품 11개, 생활용품 12개, 전기용품 6개 등 29개 제품을 적발했고, 관련 사업자들에 대해 리콜명령(제품의 수거, 파기, 수리, 교환, 환급, 개선조치 등)이 내려졌다. 

 

특히 어린이들의 사용이 빈번한 선글라스, 학용품, 완구 등 11개 제품에서 유해 화학물질(납,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노닐페놀 등)이 기준치 대비 최대 352배 초과 검출되는 등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표원은 소비자가 리콜제품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카드뉴스를 제작해 국표원의 페이스북 등을 통해서도 관련 정보를 배포했다. 

문의 043)870-5600


출처: 옵틱위클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성명서/ 윙크는 ‘안경사를 거치지 않는 온라인 판매를 반대합니다’ 최근 콘택트렌즈 온라인 픽업 서비스에 대한 논란으로 업계 전반에 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저희 윙크는 그 방식의 다름과 법적 논리를 앞세우기 이전에 국민 눈 건강을 지키는 안경사의 사명과 이를 제도화하여 안보건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협회의 역할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점을 겸허히 되돌아봅니다. 앞으로 저희 윙크는 제도...
  2. 대안협, 콘택트렌즈 픽업업체 강력 대응 근래 안경업계가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 문제로 혼란을 겪고 있다.  픽업 서비스업체에 대한 법원의 벌금형 처분 이후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허봉현)가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콘택트렌즈 픽업 2개 업체에 대해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위반으로 벌금형이 처분된 이후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고, 픽업연합회는 현행법에 아무런 저촉도 ...
  3. 당연한 안경사 업무 표시 개정(안)… 의료계 왜 이러나 안과단체 등 의료계가 지난 2월말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송파구병)이 대표발의한 안경사의 업무범위, 즉 기존의 ‘안경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트렌즈의 판매를 주된 업무로 하는 사람’에서 ‘안경의 조제•판매 및 관리와 콘택트렌즈의 판매 및 관리, 안경•콘택트렌즈의 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굴절검사의 시행 등.
  4. 온라인경매에 등장한 ‘선글라스, 근용안경’… 한 박스에 4만원 최근 유튜브에서 이뤄지는 온라인경매에 선글라스, 근용안경 등이 무분별하게 범람하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다.  심지어 가격 역시 입이 벌어질 만큼 저가인데, ‘선글라스 5개, 만원’을 제시하다 경매사 스스로 ‘이런 안경은 이제 안 산다니까, 이걸 누가 사’라고 푸념하며 선글라스 200~300장이 들어있는 낡은 ...
  5. ‘손상된 시력도 회복 가능하다?!’ 이미 손상된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이 도출됐다.  지난달 3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은 망막신경을 재생시켜 망막질환자의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의 3월 26일자 온라인에 발표된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물질은 손상된 망막 자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