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해외직구할 때 반품비 확인하세요’
  • 허정민 기자
  • 등록 2022-09-30 23:21:00

기사수정
  • 한국소비자원, 6개 오픈마켓서 반품 비용 과다 청구한 사례 적발

해외구매대행 사업자들이 소비자에게 과도한 반품 비용을 부과하거나 상품 상세 페이지에 기재된 반품 비용과 주소 등이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1일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은 올해 4월 27일부터 6월 15일까지 6개 오픈마켓(네이버·11번가·옥션·인터파크·G마켓·쿠팡) 내 입점 해외구매대행 사업자들의 상품 240개의 반품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반품 비용에 대한 표시가 부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C씨는 지난해 9월 오픈마켓에서 구매대행으로 유명 브랜드의 안경테를 99,000원에 구입한 이후 상품 수령 다음날에 마음을 바꿔서 반품을 요청했다. 

 

그러나 입점 사업자는 당초 상세 페이지에 고지한 반품 비용 2,500원이 아닌 60,000원을 반품비용으로 청구했다. 

 

무엇보다 입점 사업자 중 96.6%(232개)는 소비자가 청약 철회를 요청한 시점의 배송단계에 따른 반품 비용을 구분하고 있지 않았으며, 8.8%(21개)의 입점 사업자는 상품 상세 페이지에 반품 비용을 표시하지 않거나 하나의 상품에 서로 다른 두 상품의 반품 비용을 표시해 소비자를 혼란케 만들었다. 

 

우리나라 전자상거래법에 따르면 사업자는 반드시 반품 비용을 소비자가 알기 쉽게 표시해야 하지만, 이들 업자들은 이 같은 규정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의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외구매대행 사업자에게 과다한 반품 비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정확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고지하도록 하는 한편 국내 오픈마켓 사업자에게는 상품 상세 페이지의 반품 비용 정보 표시를 개선할 것 등을 권고할 것”이라며 “아울러 소비자들은 해외구매대행을 이용하기 전에 국제거래 소비자포털 내 해외구매대행 주의사항 등을 살피고, 상품 구매 시에는 반드시 반품 비용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문의 043)880-5622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경원의 3종 장애물, 어떻게 뛰어넘나? 코로나에 이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 현상으로 어려움이 많은 일선 안경원에 안과병원에서 시행하는 드림렌즈, 라섹수술, 노안교정수술이 매출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국내외의 불경기 여파로 매출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안경원에 안과에서 판매하는 드림렌즈와 2가지 수술이 매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  특히 성장기 학생...
  2. 심평원, 인공눈물 건강보험 혜택 축소 ‘만지작’ 안구건조증 등의 질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인공눈물’의 건강보험 급여가 축소돼 내년부터 소비자가격이 현재보다 최대 10배 인상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6일 개최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제9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인공눈물, 즉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제’에 대해 급여 적정성이 떨어진다는 논의에 이...
  3.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社 검찰에 송치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주문한 콘택트렌즈를 제휴 안경원에 안내해 주는 픽업 서비스 업체가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제14조 위반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를 운영 중인 W社에 대해 소비자의 유인•알선을 금지하는 의료기사법 위반혐의로 고발돼 검찰 수사가 진행 중...
  4. 해외직구 피해 사례 빈발 해외 유명 브랜드의 가품 선글라스를 판매한 후 소비자의 정당한 주문 취소 요구를 거부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의 피해 사례가 급증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23일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쇼핑몰 ‘시크타임’이 가품을 판매한 후 취소를 거부해 지난 8월 28일부터 이달 5일까지 해당 사이트 관련 피해 상담은 총 23건이 접.
  5. 안경사 국시에 컴퓨터시험 도입 오는 2025년도 안경사국가시험부터 컴퓨터시험(CBT)이 도입될 전망이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원장 배현주)은 지난 17일 2025년도부터 2026년도까지 순차적으로 약사 등 5개 직종 8개 국가시험에 CBT를 확대•도입한다고 밝혔다.  국시에서 CBT 도입은 이미 의사(2022), 치과의사, 한의사, 요양보호사(상시), 1급 응급구조사(2023) 등 1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