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화가로 알려진 스탠리 스펜서(Stanley Spencer, 1891~1959)는 구상회화를 대표하는 존재로 템즈강변의 아름다운 마을, 버크셔주의 쿠컴에서 태어났다.
이렇다 할 체계적인 미술교육을 받지 못한 채, 어린 시절 아버지의 서재에 있던 삽화집이나 동화책, 종교서적 등을 통해 상상력을 키웠고, 특히 윌리엄 터너와 루벤스 같은 대가들의 복사품을 보며 미술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고 한다.
그 결과 자신만의 매우 독창적이고 환상적인 회화세계를 형성해, 딱히 어느 장르로 분류하기가 매우 어려운 화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그의 관심사는 전쟁, 가정, 노동, 종교 그리고 성(性)에 이르기까지 너무도 다양했으며, 특히 종교화 부분에서는 신앙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최후의 만찬’ ‘십자가 처형’ ‘부활’ 등 전형적인 기독교 주제들을 그렸는데, 기존 종교화와는 달리 마치 현대 일상적인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것처럼 묘사했다.
세 사람은 영국 최고의 미술과 디자인학교인 Slade School of Fine Art 출신 화가들로, 프리스와 도로시는 졸업 후 스튜디오를 함께 쓰면서 파리에서 4년간 생활한 후 1925년에 런던으로 돌아와 1927년 쿠컴에 정착했다.
양성애자인 프리스는 1932년 경 스펜서를 만났고 작품 활동을 하는 한편으로는 그의 모델로 지냈다.
이후 1937년 스펜서가 전처 힐다(딸 두 명을 낳음)와 이혼하고 일주일 만에 도로시와 동성애를 즐기던 프리스와 매우 기이한 결혼 생활을 시작해, 1959년 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22년간 이어갔다.
어릴 적부터 눈이 나빠 안경 없이는 일상생활 자체가 매우 불편했던 스펜서는 자화상을 그릴 때는 반드시 안경을 낀 모습을 그렸다.
이 작품은 1936년부터 37년 사이, 양성애자인 두 번째 부인과의 비극적 사랑을 너무나도 슬프게 보여주는 2점의 ‘2인 누드 초상화’ 중 한 작품이다.
사랑이라는 격렬한 행위를 하기엔 매우 불편한 안경을 낀 채, 체온이 매우 낮을 때 표시되는 짙은 녹색으로 채색된 상체에다, 시선마저 안경 너머 딴 곳으로 보내고 있는 화가 자신과, 침대 위에서 알몸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오른팔에 머리를 누인 채 뭔가 불만에 가득 쌓인 눈빛으로 입술마저 꽉 다문 2번째 부인 프리스의 모습에서, 중년부부의 뜨거운 만족감은 전혀 찾아볼 수가 없는 그림이다.
이 작품제목을 보면 처음엔 매우 생뚱맞다는 의구심이 들지만 평소 스펜서는 자신을 ‘프리스의 몸 구석구석을 기어 다니는 개미와 같다’고 칭했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비로소 이해가 되는 비극적 사랑의 부부 자화상이 아닐까싶다.
제2차세계대전 동안 스펜서는 공식 전쟁예술가로 일하며 스코틀랜드 스콧 리스고 조선소의 문화개선 프로젝트를 맡았다.
그곳에서 보고 겪었던 경험들을 토대로 그렸는데, 이 작품이 그를 영국의 20세기 유명화가의 반열에 올려준 <조선소 작업 현장 연작작품들>(1947~50)이다.
훗날 그는 ‘스콧 리스고 조선소의 많은 구석들이 내 어린 시절의 방과 흡사해 나를 감동시켰다’라고 회상했다고 한다.
참고로 해당 조선소는 1974년 현대중공업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건조한 26만톤급 초대형 유조선을 만들기 위해 설계도면을 빌려왔던 곳이기도 하다.
출처: 옵틱위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