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노안 백내장 불법수술한 병원 또 적발
  • 허정민 기자
  • 등록 2023-09-27 21:23:40

기사수정
  • 백내장 알선 브로커에 24억 지급한 모 안과 재판 회부
  • 소개비로 브로커에 1건당 150만원 지급

환자 알선을 대가로 수십억원의 뒷돈을 주고받은 혐의로 서울 강남의 안과병원 원장과 브로커 일당이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는 지난 22일 환자 알선 브로커 소모 씨를 의료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하고, 다른 브로커 5명과 이들에게서 환자를 소개받은 A안과병원 박모 원장 등 병원 관계자 2명을 불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A병원은 2019년 10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소 씨와 홍보•마케팅 업무를 대행하는 환자알선 계약을 맺고, 지금까지 환자 알선비로 약 24억원을 주고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또 다른 브로커들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1억 7천만원∼5억 6천만원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0여 개월 동안 이들과 부적절한 거래관계를 맺은 A병원이 알선 대가로 지급한 금액은 총 40억원으로 A병원은 이들 브로커들에게 환자 1명당 150만원 또는 백내장 수술비의 20∼30%를 현금 지급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동안 백내장 수술과 관련한 불법 사실은 종종 드러났다. 

 

이번 사건에서도 이들 브로커들은 백내장 진단을 받은 40대 후반부터 70대 가입자에게 접근해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수술을 받는 실손보험의 계약 내용에 따라 최대 100% 비용을 보상받는 점을 노려 환자들을 A병원에 알선한 것으로 확인됐다. 

 

A병원은 모집된 환자들 중 실비 청구가 가능한 이들에게 백내장 이외에 노안교정 수술을 받게 해 연간 200∼300억원대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 관계자는 “이 같은 불법이 횡행한 것은 환자에게 직접 손해가 없다는 잘못된 인식에서 죄의식 없이 저지른 불법인 만큼 이에 상응한 처벌을 받도록 공소 유지와 범죄수익 환수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경원의 3종 장애물, 어떻게 뛰어넘나? 코로나에 이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 현상으로 어려움이 많은 일선 안경원에 안과병원에서 시행하는 드림렌즈, 라섹수술, 노안교정수술이 매출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국내외의 불경기 여파로 매출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안경원에 안과에서 판매하는 드림렌즈와 2가지 수술이 매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  특히 성장기 학생...
  2. 심평원, 인공눈물 건강보험 혜택 축소 ‘만지작’ 안구건조증 등의 질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인공눈물’의 건강보험 급여가 축소돼 내년부터 소비자가격이 현재보다 최대 10배 인상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6일 개최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제9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인공눈물, 즉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제’에 대해 급여 적정성이 떨어진다는 논의에 이...
  3.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社 검찰에 송치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주문한 콘택트렌즈를 제휴 안경원에 안내해 주는 픽업 서비스 업체가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제14조 위반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픽업 서비스를 운영 중인 W社에 대해 소비자의 유인•알선을 금지하는 의료기사법 위반혐의로 고발돼 검찰 수사가 진행 중...
  4. 해외직구 피해 사례 빈발 해외 유명 브랜드의 가품 선글라스를 판매한 후 소비자의 정당한 주문 취소 요구를 거부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의 피해 사례가 급증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23일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쇼핑몰 ‘시크타임’이 가품을 판매한 후 취소를 거부해 지난 8월 28일부터 이달 5일까지 해당 사이트 관련 피해 상담은 총 23건이 접.
  5. 안경사 국시에 컴퓨터시험 도입 오는 2025년도 안경사국가시험부터 컴퓨터시험(CBT)이 도입될 전망이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원장 배현주)은 지난 17일 2025년도부터 2026년도까지 순차적으로 약사 등 5개 직종 8개 국가시험에 CBT를 확대•도입한다고 밝혔다.  국시에서 CBT 도입은 이미 의사(2022), 치과의사, 한의사, 요양보호사(상시), 1급 응급구조사(2023) 등 1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